요점정리▲ 공기업 채용에서 지방 거점 국립대 비중 급증
▲ 서울 주요 대학 출신 채용 감소, 인재 다양성 문제 제기
▲ 특정 대학·지역 출신 쏠림 현상으로 ‘토호화’ 우려
더 알아보기공기업의 지방 이전과 함께 지역 인재 의무채용 정책이 시행되면서, 일부 지방 거점 국립대 출신들이 공기업 채용을 사실상 독점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서울경제신문 분석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20182024년 서울대 출신 신입사원 56명을 채용한 반면, 전남대 출신은 410명을 선발했다. 이는 20052017년 서울 주요 대학 5곳(서울대·고려대·연세대·성균관대·서강대) 출신이 925명이었던 것과 대조적이다.
한국가스공사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018년 이후 7년간 경북대 출신 신입사원(130명)이 서울대(16명), 고려대(48명), 연세대(24명), 서강대(10명), 성균관대(28명)를 모두 합친 숫자(126명)보다 많았다. 지역 인재 35% 채용 의무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러한 인재 편중 현상은 공기업 내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정 대학 출신들이 조직 내 세력을 형성하면서 다양성이 줄어들고, 신입사원 채용 폭이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공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려면 지역 제한 없이 다양한 인재를 선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향후 전망지역 인재 의무채용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방 출신이라도 서울 주요 대학을 졸업했다면 지역 인재로 인정하는 방식’ 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인사위원회에 외부 인사를 더 많이 포함해 특정 대학 출신들의 쏠림 현상을 방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