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일자리와 대출 문이 점점 좁아지고 있다. 취업 시장에서는 중장년층에게 밀리고, 금융권에서도 대출이 축소되면서 경제적 자립이 어려워지고 있다. 청년층을 경제활동의 중심으로 되돌릴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요점 정리
▲ 39세 이하 청년 대출 총액, 1년 새 3.5조 원 감소…중장년층 대출은 11조 원 증가
▲ 청년 취업자 21만 명 감소…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34만 명 증가
▲ 금융권의 대출 축소, 기업의 경력직 선호가 청년층 경제 소외 심화
더 알아보기
나이스(NICE)평가정보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39세 이하 청년 차주의 대출 총액은 492조 7,984억 원으로, 1년 전보다 3조 5,000억 원 줄었다. 반면, 50세 이상 중장년층의 대출 총액은 1년 새 11조 5,000억 원 증가해 840조 원을 넘어섰다. 금융권이 정부의 가계대출 감축 기조에 따라 청년층 대출을 우선적으로 줄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용시장에서도 청년층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2025년 1월 기준 15~29세 청년 취업자는 1년 전보다 21만 8,000명 감소했다. 이는 2021년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반면, 같은 기간 60세 이상 취업자는 34만 명 증가해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금융권의 대출 규제와 기업의 신입 채용 감소가 청년층의 경제활동 위축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기업들이 경기 불확실성을 이유로 신입보다는 경력직 채용에 집중하면서 청년층의 일자리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향후 전망
청년층의 경제적 소외가 장기화될 경우, 소비 감소와 자산 격차 확대 등의 문제가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청년 일자리 창출 및 금융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하며, 기업들도 신입 채용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청년층의 경제 참여를 활성화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성장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