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는 더 이상 소외된 인력이 아니다. 현장 경험과 노하우를 무기로 지자체 일자리의 중심에 서고 있다.
요점정리▲ 시니어 폴리스, 민원상담관 등 경력을 활용한 맞춤형 공공 일자리 확산
▲ 서울시·경북도 등 지자체, 퇴직자 대상 재교육·재고용 프로그램 적극 운영
▲ 숙련자 재고용 시 기업 만족도 높고 재교육 비용 절감 가능
더 알아보기세종시는 퇴직 경찰관으로 구성된 ‘시니어 폴리스’를 운영 중이다. 자전거 절도 예방, 불법 이륜차 계도 등 실질적 민생치안에 기여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30년 이상 경력의 현장 전문가다.
강원 인제군은 퇴직 공무원을 민원상담관으로 채용해 민원처리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정부도 퇴직자 역량을 활용한 사회공헌 사업 예산을 확대하며 제도적 지원에 나섰다.
서울시는 은퇴자를 역량별로 구분해 맞춤형 직업훈련을 제공한다. 경북도는 은퇴 과학자를 위한 ‘K-과학자마을’을 조성하며 고급 인력 활용에 주력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