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NewsBrief
발행완료
키워드 보기
브리핑 수정
발행 취소
25년 02월 28일
HR Dailly | 25.02.28 (Fri)
채용/이직/자격증 트렌드 뉴스 브리핑
대기업 채용 한파…상반기 신규 채용 61% 없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
#취업통계
경기 침체와 대외 불확실성 확대 속에 대기업 10곳 중 6곳이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수익성 악화 대응을 위해 긴축 경영을 강화하고 있으며, 공개 채용 대신 수시·경력 채용을 확대하는 추세다.

요점 정리
▲ 500대 기업 중 61.1%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 없다"
▲ 건설·석유화학·금속 업종, 경기 침체로 채용 위축 심화
▲ 기업들, 공개 채용 대신 수시·경력 채용 선호

더 알아보기
한국경제인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신규 채용을 줄이는 가장 큰 이유는 ‘경영 긴축’(51.5%)이었다. 경기 침체와 고환율,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건설(75.0%), 석유화학(73.9%), 금속(66.7%) 업종에서 채용 위축이 두드러졌다.

기업들은 정기 공개 채용보다 수시·경력 채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인력 운용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응답 기업 중 63.5%는 올해 상반기 수시 채용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0%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식료품·건설·금속 업종에서는 신규 채용을 아예 계획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다.

향후 전망
채용 시장 위축이 지속될 경우, 청년층의 취업난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고용 여력을 높이기 위해 세제 지원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통합투자세액공제 일몰 연장과 임시투자세액공제 확대가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팩트체크] 한국 대기업 신입 연봉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연합뉴스
|
#채용
plus-sign
기사 추가하기
토스, 동료 고발 기반 '권고사직' 논란
(관련기사 바로가기)
|
#사생활
토스가 핀테크 3사(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 중 유일하게 내부 고발을 기반으로 한 권고사직 제도를 운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직원들은 ‘신뢰회복 프로그램(TRP)’이 사실상 자진 퇴사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변질되었다고 호소하고 있다.

요점 정리
▲ 내부 고발로 시작되는 ‘TRP’ 제도, 강제 재교육 후 평가 진행
▲ 동료 직원의 투서가 권고사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
▲ 토스, 국회 질의에 “영업비밀” 이유로 답변 거부

더 알아보기
토스는 2023년 도입한 TRP 제도를 통해 동료 직원의 고발로 인사 절차를 개시하고, 대상자에게 3~6개월간 재교육을 부과한다. 이후 동료 평가를 거쳐 징계 여부를 결정한다. 직원들은 TRP 대상자가 되는 것 자체가 조직 내 낙인 효과를 불러일으켜, 퇴사를 압박하는 구조라고 지적하고 있다.

핀테크 업계에서는 이 같은 인사 방식이 지나치게 가혹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른 핀테크 기업들은 권고사직 제도를 운영하지 않으며, 동료 고발이 직접적인 인사 조치로 이어지는 사례는 드물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환경에서 조직 내 신뢰와 팀워크가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향후 전망
TRP 제도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토스는 관련 정보를 대외비로 유지하고 있다. 국회의 질의에도 ‘기업의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답변을 거부했다. 그러나 내부 불만이 지속되는 한, 인사제도 개선 요구와 법적·정책적 대응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자녀 1명당 1억원·육아휴직 최대 2년···크래프톤, 출산 지원 제도 내놓았다
매일경제
|
#유연근무
#사내 소통
당신 폰엔 몇 개나 깔렸나요?...‘앱 피로’ 시달리는 직장인들
조선일보
|
#사내 소통
plus-sign
기사 추가하기
선관위, 채용비리와 복무 기강 해이 적발
(관련기사 바로가기)
|
#건축
#교육행정
#국회
#시설관리 등
감사원이 선관위의 채용 비리와 복무 기강 해이를 적발했다. 고위직 자녀 특혜 채용, 근무지 무단이탈 등 총 37건의 위법·부당 행위가 드러났다.

요점 정리
▲ 선관위 고위직, 가족 특혜 채용 및 면접 점수 조작
▲ 일부 직원, 허위 병가·무단 이탈로 국가 예산 부당 수령
▲ 감사원, 32명 징계 요구 및 비리 사실 통보

더 알아보기
감사원은 2013년 이후 시행된 291건의 경력 채용을 전수조사한 결과, 규정 위반 사례가 878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친인척 채용을 위해 채용 공고 없이 내정자를 결정하고, 내부 직원들만이 참여한 형식적 면접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복무 기강 해이도 심각했다. 한 고위직 직원은 8년간 183일 이상 일본과 태국 등으로 여행을 떠났으며, 허위 병가를 제출해 3,800만 원 상당의 봉급과 수당을 부당하게 수령했다. 또한, 감사 과정에서 증거를 인멸하거나 허위 진술을 강요하는 등 조직적인 은폐 정황도 확인됐다.

향후 전망
선관위의 공정성과 신뢰성이 심각하게 훼손된 만큼, 인사 시스템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의 조사 결과에 따라 검찰 수사가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선관위 내부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지 않으면 유사한 비리가 반복될 우려가 크다.

 
plus-sign
기사 추가하기
저장한 뉴스 목록에서 브리핑을 만들 뉴스를 선택해주세요.
새로운 그룹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