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29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연방준비은행 주최 대담에서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를 평가해 달라는 질문에 "기대했던 수준"이라며 "물가는 연준이 목표로 하는 2%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로이터=뉴스1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29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연방준비은행 주최 대담에서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를 평가해 달라는 질문에 "기대했던 수준"이라며 "물가는 연준이 목표로 하는 2%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 거주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지표다. 이날 상무부는 지난 2월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8%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1월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2.9%)보다 0.1% 포인트 낮은 것이다.
파월 의장은 "미국 경제가 탄탄하게 버티는 것이 중앙은행에 시간적 여유를 주고 있다"며 고용지표 호조로 인플레이션 목표 2%에 가까워질 때까지 Fed가 신중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는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미로, 시장의 금리 조기 인하 기대감에 찬 물을 끼얹은 발언이라는 분석이다.
파월 의장은 "금리를 너무 빨리 인하하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시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시장에 큰 혼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파월 의장은 "Fed가 금리 인하를 너무 지연시키면 고금리로 인한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며 현재 수준의 금리를 그대로 두는 것에 대한 위험성을 인정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그는 "현재 수준의 금리로 인해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며 "금리 인하 결정은 매우 중요한 만큼 특정 월의 물가 지표에 과민 반응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파월 의장과 마찬가지로 몇몇 연준 관계자들도 현 상황을 장기화하는 것보다 너무 빨리 인하하는 것을 더 우려하고 있다. 현재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최근 인플레이션 위험 때문에 Fed가 올해 금리를 한 번만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뱅가드의 이코노미스트인 퀴안 왕은 "단기간에는 연준이 금리를 전혀 내릴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며 "잠재적으로 올해 인플레이션이 2.5~3% 범위의 목표보다 높게 유지되고 성장률도 2% 넘는 시나리오를 예상한다"고 말했다.